
2025년 기준, 초보자를 위한 금융 용어 10가지 쉽게 정리
왜 금융 용어를 알아야 할까?
재테크를 시작하고 싶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막막하다면 시작조차 어렵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금융 용어 10가지를
최대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예금 vs 적금
– 예금: 한 번에 큰 금액을 예치하고 만기 시 이자 받는 방식
– 적금: 매달 일정 금액을 넣는 방식
예금은 자금이 여유 있을 때, 적금은 월급에서 저축할 때 활용합니다.
2. 복리 vs 단리
– 단리: 원금에만 이자 적용
– 복리: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
장기 투자는 **복리 효과**가 커지므로 복리 상품을 선호합니다.
3. CMA 통장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수시입출금 계좌로,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고이율 입출금 통장**입니다.
비상금 통장, 월급 통장으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4. IRP (개인형 퇴직연금)
개인이 스스로 노후를 위해 운용하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며,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합니다.
5. ETF (상장지수펀드)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 상품으로,
특정 지수(예: 코스피, 나스닥 등)를 따라가는 구조입니다.
소액으로 분산투자할 수 있어 초보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6. 신용점수 (Credit Score)
과거의 연체, 대출, 카드 사용 패턴 등을 기반으로
신용등급 대신 점수(1~1000점)로 표시됩니다.
높은 점수는 **대출, 금융 혜택, 전세 보증 등에서 유리**합니다.
7. 금리 (이자율)
돈을 빌리거나 맡겼을 때 주고받는 이자 비율입니다.
– 기준금리: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전체 금융의 기준
– 실질금리: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제 수익률
8.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입니다.
은행 대출 심사 시 핵심 기준으로 사용되며,
DSR이 낮을수록 대출 가능성↑
9. 비상금
예상치 못한 지출(병원, 수리, 실직 등)을 대비해
따로 모아두는 돈입니다.
보통 **3~6개월치 생활비를 목표**로 마련합니다.
10. 자동이체 저축
월급일 다음 날 저축 계좌로 자동이체 설정해
**소비 전 저축 습관**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가장 기본적이지만 가장 효과적인 저축 방식입니다.
마무리
금융은 ‘이해’가 먼저입니다.
오늘 소개한 용어들만 알아도 뉴스나 금융상품 설명을
이해하고 선택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작은 지식이 큰 돈을 지켜줍니다. 오늘부터 하나씩 익혀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