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금융 용어 10가지 완벽 정리 (2025년 최신판)

초보자를 위한 금융 용어 10가지 완벽 정리 (2025년 최신판)

작성일: 2025년 9월 1일 | 카테고리: 금융 · 기초 상식

왜 금융 용어를 알아야 할까?

금융은 우리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적금, 대출, 신용, 금리 등은 월급을 받고 소비하고 저축하는 모든 과정에서 사용되죠.
하지만 어려운 용어 때문에 금융에 거리감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금융 초보자도 꼭 알아야 할 10가지 핵심 용어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예금 (Deposit)

일정 금액을 은행에 맡기고, 약정된 기간이 지난 후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상품.
대표적으로 정기예금이 있으며, 안정적인 자산 관리에 적합합니다.

2. 적금 (Installment Savings)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저축하여, 만기 시 이자를 더해 돌려받는 상품.
목돈 마련에 유리하며, 자동이체와 함께 사용하면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3. 금리 (Interest Rate)

돈을 예치하거나 빌릴 때 발생하는 이자의 비율.
예금 금리는 내가 받는 이자율, 대출 금리는 내가 내는 이자율입니다.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시중 금리도 변합니다.

4. 복리 (Compound Interest)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구조.
장기적인 저축에 유리하며, 단리보다 이자 수익이 큽니다.
복리 효과는 시간이 길수록 더 크게 작용합니다.

5. 신용점수 (Credit Score)

개인의 금융 신뢰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 (0~1000점).
대출, 카드 발급, 할부 이용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연체 없이 카드/대출을 잘 갚으면 점수가 상승합니다.

6.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증권사에서 개설하는 수시입출금식 자산관리 계좌.
입금 즉시 하루 단위로 이자가 붙으며, 단기 비상금 관리에 적합합니다.
일반 예금보다 금리가 높은 편입니다.

7. ETF (Exchange Traded Fund)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된 상품으로,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
금융상품에 대한 기초 지식이 있다면 소액으로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8. DTI / DSR

DTI (총부채상환비율): 연 소득 대비 부채 상환 부담 비율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의 몇 %인지 나타냄
대출 심사 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9. 마이너스 통장 (한도대출)

정해진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대출 방식.
사용한 금액에 대해서만 이자가 부과됩니다.
편리하지만 이자율이 일반 대출보다 높은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10.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신용카드: 후불 결제, 신용점수에 영향, 다양한 혜택 가능
체크카드: 선불 결제, 사용한 만큼 바로 출금, 소비 통제에 유리
자신의 소비 성향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금융은 어렵게 느껴지지만, 하나하나 용어를 이해하고 나면
일상생활 속에서도 현명한 재무 판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 소개한 10가지 용어만 제대로 이해해도
당신의 금융 리터러시는 한층 업그레이드됩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익혀가보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