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금융 용어 정리: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10가지

초보자를 위한 금융 용어 정리: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10가지

금융은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 용어만 정확히 이해해도 경제 뉴스나 금융 상품 설명이 훨씬 쉽게 다가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테크를 시작하려는 금융 초보자에게 꼭 필요한 금융 용어 10가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1. 금리 (Interest Rate)

금리는 돈을 빌리거나 예금했을 때 붙는 이자의 비율입니다.
예: 예금 금리가 3%라면, 1년 후 100만 원 예치 시 3만 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2. 예금자 보호 제도

은행이 파산해도 1인당 최대 5,000만 원까지 예금을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적용 대상: 정기예금, 적금, 보통예금 등 (펀드, 주식은 제외)

3. 원리금

‘원금(처음 맡긴 돈)’ + ‘이자(수익)’를 합친 금액입니다.
예금이나 대출 시 모두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4. 복리 (Compound Interest)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로, 장기적으로 자산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개념입니다.
복리 예시: 첫 해에 100만 원 → 1년 후 105만 원 → 다음 해 이자는 105만 원 기준으로 계산

5. 신용등급/신용점수

개인의 금융 신뢰도를 평가한 지표입니다.
2021년부터는 등급 대신 신용점수(1~1000점)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출, 카드 발급에 큰 영향을 줍니다.

6. CMA 통장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수시입출금 통장입니다.
주로 증권사에서 개설하며, 비상금 관리에 적합한 금융 상품입니다.

7. ETF (Exchange Traded Fund)

여러 주식이나 자산을 한 번에 묶어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며, 분산 투자에 적합합니다.

8.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개인이 보유한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 대비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낸 비율입니다.
DSR이 높으면 대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9.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변동금리: 시장 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변동

고정금리: 약정 기간 동안 동일한 금리 유지

대출이나 예금 시 금리 유형에 따라 수익 또는 부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0. 리볼빙 (Revolving Payment)

신용카드 사용금액 중 일정 금액만 결제하고, 나머지를 다음 달로 넘기는 결제 방식입니다.
단기적으로 유용하지만 이자율이 매우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무리

금융 용어는 처음에는 낯설지만, 하나씩 익히다 보면 전체 금융 흐름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위에서 소개한 10가지 개념은 금융 생활의 필수 지식이며, 앞으로 다양한 금융 상품을 비교하고 선택하는 데에도 핵심적인 기준이 됩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익혀가며, 현명한 재테크의 첫걸음을 내딛어 보세요.

댓글 남기기